콩고민주공화국 피난민 텐트촌에 마련된 임시 병원이 우는 아이들로 가득합니다. <br /> <br />열이 오르고 피부 곳곳에 수포가 올라온, 엠폭스에 감염된 환자들입니다. <br /> <br />[니지레 루캉기라 / 엠폭스 환자 엄마 : 아이가 아파서 병원으로 데려왔어요. 주사를 맞고 약을 먹었는데 상태가 매우 안 좋아요.] <br /> <br />민주콩고에서는 최근 일주일 새 엠폭스에 감염된 환자가 천 명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유행하고 있는 변이 바이러스는 침방울이나 체액뿐 아니라 일상적 접촉으로도 쉽게 전파됩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세계보건기구가 엠폭스 확산으로 세계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한 가운데, <br /> <br />최근 콩고를 중심으로 나이지리아, 부룬디 등 아프리카 14개국에서 확인됐고, 스웨덴과 태국, 요르단에서도 확진자가 보고되는 등 전 세계로 퍼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아프리카 국가들의 엠폭스 환자 70% 정도가 15세 미만의 아동·청소년이라 우려가 큽니다. <br /> <br />[클라리세 이심웨 / 엠폭스 환자 엄마 : 이 전염병(엠폭스)이 치명적이라는 이야기를 들어서 너무 무서웠어요. 특히 아이들 몸에 수포성 발진이 난 것을 보고는 너무 걱정돼서 매일 울었어요.] <br /> <br />국제기구들은 내전으로 위생 상태가 열악한 집단 시설에서 물과 음식을 제대로 공급받지 못하는 어린이들에게 더욱 치명적이라고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환자들이 늘면서 백신과 의약품 부족 현상까지, 현장은 그야말로 또 다른 모습의 전쟁터입니다. <br /> <br />[무솔레 물람바 무바 박사 / 민주콩고 카부무 병원 의료 책임자 : 우리는 여러 가지가 부족한 상황입니다. 특히 의약품 부족은 이 질병을 치료하는 데 있어 큰 도전이죠.] <br /> <br />세계보건기구는 우선 콩고와 나이지리아 등 엠폭스 확산이 심각한 국가들부터 백신 공급을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필요한 백신의 확보도 쉽지 않은 데다, WHO의 늑장 대응으로 백신 공급이 지연되면서 여전히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들이 백신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잔디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:한경희 <br />자막뉴스:이도형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90315465959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